건강의 파수꾼.. 침에 대한 해부
[하루 분비량 1.5L ..]
침은 침샘에서 만들어진다. 우리 몸에는 여러 개의 침샘이 있다. 그 중 큰 침샘이 세 쌍 있는데 위치에 따라 각기 이하선(耳下腺), 악하선(顎下腺), 설하선(舌下腺)이라고 부른다.
이하선은 귀 아래에, 악하선은 턱뼈의 옆 아래에, 설하선은 혀의 앞쪽 아래에 한 쌍씩 있다. 볼 안쪽과 혀 아래쪽에 작은 구멍이 보이는데 이들이 큰 침샘의 통로다.
작은 침샘은 입술, 혀, 볼 안쪽, 입천장 등에 산재해있는데 눈으로는 보이지는 않는다. 침의 대부분은 큰 침샘에서 만들어지는데, 이하선에서는 주로 묽은 성분의 침이 만들어지고, 다른 침샘에서는 점액 성분이 많은 침이 만들어진다.
이들 큰 침샘과 작은 침샘에서 하루에 분비되는 침의 총량은 1L에서 1.5L에 이른다.
침은 평상시에도 분당 0.5ml정도씩 계속 분비된다. 안정한 상태에서 분비되는 침은 pH가 6.0정도의 약산성을 띠고 있으며 점도도 낮다.
그러나 외부에서 자극이 가해지면 분비량은 분당 4ml까지 늘어난다. 그리고 pH도 7.0 - 7.3 정도로 증가돼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을 띠며 점도도 증가한다.
[미인 보고 흘리는 침 ]
침분비의 촉진은 자율신경 특히 부교감신경의 자극을 통해 일어난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부교감신경을 자극하는 약물을 투여하면 침은 많이 분비된다. 반대로 부교감신경을 억제하는 약을 투여하면 침의 분비가 억제된다.
침분비를 촉진하는 자극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음식물의 맛이다. 특히 신맛은 침을 분비시키는 가장 강력한 자극이다. 그러나 음식의 맛이 아니더라도 음식물 덩어리가 입안에 닿는 것만으로도 침이 분비된다.
둥근 조약돌을 입안에 넣고 오물거리거나 맛이 없는(無味)물질을 씹어도 침이 분비된다. 이것이 바로 기계적 자극에 의한 침의 분비현상이다.
또 맛있는 음식을 생각하거나, 보거나, 냄새를 맡아도 이것들이 자극이 돼 침이 나온다. 물론 이것은 그 음식의 맛에 대한 기억이 뇌에 남아있기 때문이다. 레몬을 보거나 생각만 해도 침이 나오지만, 레몬은 신맛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없거나 맛을 경험한 적이 없으면 침이 나오지 않는다.
이렇게 과거의 기억이 뇌에 남아 있다가 그 기억을 되살리는 조건하에서 침을 분비하게 되는 것을 조건반사에 의한 침의 분비라고 한다. 음식 이야기를 할 때 입에 군침이 도는 것도 조건반사에 의한 침의 분비 때문이다.
성적 흥분시에도 자율신경계통이 자극되면서 침이 분비된다. 미인을 보고 침을 흘린다는 것은 이런 현상을 반영하는 말이다.
[씹을수록 맛있는 밥 ]
침은 어떤 기능을 할까.
첫째로 침은 입안을 깨끗이 유지해준다. 침은 99%가 수분이다. 이 수분이 입안을 흐르면서 구강내의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을 씻어내 청결히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로 윤활작용을 한다. 침이 약간 끈적끈적한 것은 침 속에 있는 뮤신(mucin)이라는 물질 때문이다. 뮤신은 당(糖)과 단백이 결합된 물질이다. 뮤신은 수분과 함께 구강점막을 덮고있어 입안을 마르지 않게 하고 기계적으로 보호한다. 또 음식물을 삼키기 쉽게하며, 말을 하는데도 불편이 없도록 해준다.
셋째는 소화작용이다. 침속에는 알파-아밀라제(α-amylase)라는 소화효소가 들어있다. 아밀라제는 프티알린(ptyalin)이라고도 불리는데, 녹말을 분해시키는 소화효소다. 아밀라제가 녹말을 분해하면 맥아당이 된다.
말은 단맛이 없지만 맥아당은 단맛이 있다. 밥을 입에서 오래 씹으면 단맛이 난다. 이것은 밥속의 녹말성분이 침에 의해서 소화돼 단맛을 띠는 맥아당으로 변했기 때문이다.
음식물 등의 자극으로 침의 분비량이 많아지면 pH가 7까지 증가된다. 이것은 구강내 환경을 아밀라제가 작용하기 가장 적절한 산도(pH 7.0)로 유지하려는 반응이다.
[침 속에 DNA가? ]
침의 넷째기능은 유해한 세균에 대한 항균작용이다. 침속에 있는 항균성분에는 라이소짐, 감마글로블린, 시안화황 등이 있다. 라이소짐은 세균을 녹여서 파괴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일종이다.
감마글로블린은 항체기능을 해 세균이 몸속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는다. 침의 다섯째 기능으로는 분비기능을 들 수 있다. 체내에 들어온 수은, 납, 아연 등은 미량이긴 하지만 일부가 침을 통해 분비 배설된다. 구강 내에는 수많은 세균이 서식하고 있는데 이 세균들도 모두 침에 섞여 나온다.
또한 병을 앓는 환자의 침에는 그 질병의 원인균이 섞여 있다가 말을 하거나 기침을 할 때 작은 침방울에 섞여 나와 병을 전염시키기도 한다. 우리나라에 흔한 B형 간염도 원인 바이러스가 침으로 분비되고 있다. 침이 주된 전염경로는 아니지만 대량의 침에 의해서는 전염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 AIDS에 감염되면 항체가 침으로 분비된다. 최근에는 이 항체를 검출해 AIDS를 간편하게 진단하는 방법도 개발돼 이용되고 있다.
침에는 혈액형을 나타내는 물질이 분비되어 침으로 혈액형을 알아낼 수도 있다. 또한 침속에는 구강 내의 여러 세포들이 함께 섞여 있는데, 이들 세포 속의 DNA를 이용해 개인을 식별할 수도 있다.
담배꽁초에 묻은 침으로 범인의 혈액형을 확인하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일이고, 최근 독일에서는 살인범을 잡기 위해 피해자 거주지 일원의 주민 1만8천명에 대해 모두 침 속의 유전물질을 검사하기로 해 주목을 끌고있다.
더러움이나 증오를 표시할 때 침을 뱉는 것은 입속의 세균이 침에 섞여 나오니 더러운 것을 퍼붓는 다는 것이다. 자기의 소유를 주장할 때 '침발라 놓았다'고 하는 것은 가져가려면 더러움을 감수하라는 의미일 것이다.
또 자신만을 특징지울 수 있는 침으로 표시를 했다는 뜻이라고 하면 견강부회(牽强附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