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나라

빛의 회절

조약돌의꿈 2007. 6. 8. 14:58

  광파는 파장이 짧기 때문에 음파나 전파보다 회절이 약하며, 광원()은 일반적으로 어떤 넓이를 가지고 있어서 그림자의 테두리가 희미해져 있으므로 회절효과를 분명히 알 수가 없다. 그러나 바늘 끝으로 뚫은 작은 구멍이나 면도칼 끝 등에 수직으로 빛을 조사()하면 그림자가 되는 부분에 빛이 들어가 그것이 동심원()이나 평행한 명암() 무늬로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구멍이나 칼날 끝에서 회절된 빛이 서로
광행로차()가 생겨, 그 길이가 빛의 파장과 같은 정도로 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간섭현상의 일종으로서, 일반적으로 이것을 장애물에 의한 빛의 회절상이라 한다.

 
회절발[]은 이와 같은 회절광의 간섭을 이용하여 빛의 스펙트럼을 얻기 위한 장치이다. 또 빛의 회절은 광학기계 등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상을 희미하게 하며, 현미경 등에서 분해능()이 제약을 받는 하나의 원인이 된다. 직시광()보다 파장이 짧은 자외선을 이용하는 자외선현미경이 보통의 광학현미경보다 높은 분해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자외선의 회절이 직시광보다 작기 때문이다.

'과학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곤충들의 포르노 세계  (0) 2007.07.03
빛의 입자설과 파동성  (0) 2007.06.08
간섭성빛 [干涉性─, coherent light]  (0) 2007.06.04
광섬유의 용도  (0) 2007.06.02
광섬유의 제조  (0) 2007.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