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나라 60

빛의 방출과 간섭성

발광체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예를 들면, 백열전구는 필라멘트가 고온으로 가열됨으로써 빛을 방출하며 수은등이나 네온등은 관 내의 수은이나 네온이 방전에 의해 에너지를 얻음으로써 빛을 낸다.   또한 형광이나 인광(燐光), 또는 생물발광과 같이 거의 열을 수반하지 않는 냉광(冷光)도 있다. 이와 같이 물체가 빛을 방출하는 메커니즘에는 여러 형태가 있으나 어떠한 경우에도 빛의 발생은 물체의 원자 또는 분자의 에너지상태의 변화에 따라 일어난다.   빛이 인공적으로 발신할 수 있는 전파에 비하여 대단히 짧은 파장을 가지는 것은 말하자면 빛이라는 전자기파의 발신원이 원자나 분자라는 대단히 작은 것에 기인한다.  그러나 빛이 전파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단순히 파장의 차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전자의 진동..

과학나라 2024.10.20

초전도 입자가속기란?

초전도 입자가속기란?전하를 띤 많은 입자들을 빠른 속도로 가속시켜 충돌시키기 위해서는 원통 모양의 고진공관으로 된 큰 원 주위에 많은 입자를 회전시켜 모이게 하는데, 이 때 입자가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원 주위에는 여러 개의 강한 자기장을 설치해야 한다.한 개의 강한 전자석을 만드는 데에도 많은 코일을 감아야 하고 많은 전기를 흐르게 해야 하는데, 이 때에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 열을 냉각시키려면 많은 비용이 들 뿐 아니라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간편하고 강한 전자석으로서 초전도물질을 이용한 초전도자석을 가속장치에 이용한다. 이러한 입자가속기를 초전도입자가속기라 한다. 초전도자석에 많이 사용되는 도체는 Nb-Ti합금이며 이 도체는 거의 절대도에서 저항이 없어지므로 전기 소모량이 거의..

과학나라 2024.10.20

증폭핵분열탄이 뭘까요?

증폭핵분열탄이 뭘까요?​기사를 보니 국정원과 국방부에서 북한 4차핵실험은 수소폭탄이 아니라 증폭핵분열탄이라 판단하는데 그증거로핵폭발력이 약하다는겁니다.​지진파에 의한 핵폭발 산출은 국내에서보다 미국은 더높게 판단하고있습니다.아래 표에 3차핵실험때 진도4.9에 국내 지질자원연구원은 5.5kt 미국지질조사국은 진도5.1에28kt등 분석이 다릅니다.(지진파 강도는 우리나라가 가까이 있으니 좀더 정확하지 않을까요?)​원폭구조와 원리는 회원님들도 잘아실겁니다.원자폭탄은 우라늄235나 플루토늄239를 임계질량에 이르게하여 핵폭발(초임계)시키는것으로  임계질량은 특정한 조건이 없을때 우라늄은 12~18kg의 원형구이고 플루토늄은 8kg의 구형태 입니다.​즉,우라늄이나 플루토늄이 일정량이 뭉쳐있으면 연쇄반응에의해 그냥..

과학나라 2024.10.20

스크램제트엔진

스크램제트 엔진태평양 2시간 만에 횡단하는 비행기 한국 시간 오전 9시. 미국 시카고 국제공항에서 인천행 여객기가 이륙한다. 미시간 호수가 내려다보이는 지점까지 한 바퀴 돈 비행기는 서쪽으로 방향을 튼 뒤 서서히 고도를 높인다. 그리고 가속. 태평양 한 가운데를 통과하는 순간 계기판의 속도계는 마하6(시속 7344km)을 가리키고 있다. 인천공항 활주로에 착륙한 시각은 오전 11시. 1만 500km를 비행하는 데 겨우 2시간도 안걸린 셈이다. 12시 점심 약속을 지키기 위해 서울로 향하는 발걸음이 여유롭다.항공기 추진기관을 연구하는 엔진공학자들에 따르면 이는 충분히 실현 가능한 꿈이다. 음속의 6배에서 빠르게는 15배까지 낼 수 있는 ‘스크램제트’라는 새로운 극초음속 추진기관을 연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

과학나라 2024.10.19

24절기의 유래와 시기

☆24절기의 유래와 시기☆ 24절기의 유래와 시기 인간이 월력(月曆)을 만든 가장 큰 이유는 계절의 변화를 기록하기 위해서입니다.농경사회에서는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 밖에 없는데 농사를 짓기위해 씨를 뿌리고 추수를 하기에 가장 좋은 날씨를 알아야 했기 때문입니다. 음력의 24절기도 이런 바탕에 근거하고 있습니다.24절기는 봄·여름·가을·겨울 4계절에 각각 여섯개 씩 자리잡고 있으며, 각각의 절기는 앞뒤 절기와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지며 1년을 이룹니다. 24절기는 태양의 운동에 근거한 것으로 춘분점(春分點,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해 적도를 통과하는 점)으로부터 태양이 움직이는 길인 황도를 따라 동쪽으로 15˚ 간격으로 나누어 24점을 정하였을 때, 태양이 각 점을 지나는 시기를 말합니다. 정확히 말하..

과학나라 2018.10.06

플루토늄 재처리

* 플루토늄 재처리 풀루토늄239는 천연에는 존재하지 않는 원소이며, 원자력발전에서 우라늄연료중 핵분열하기 어려운 우라늄238이 중성자를 흡수해서 최종적으로는 풀루토늄239로 되어 핵분열성물질로 변환한다. 사용후연료의 재처리에 의해 회수된 풀루토늄239는 다시 연료로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현재의 원자력발전(경수로)에서는, 핵분열 하기 쉬운 우라늄235를 0.7%에서 3~5%로 농축한 연료가 이용되고 있다. 연료중의 우라늄235이외의 핵분열하기 어려운 우라늄238은 중성자를 흡수해서 우라늄239로, 다시 넵투늄239를 거쳐 풀루토늄239라는 물질로 변한다. n+U-238→U239→→Np239→→Pu239 β-(23.5분)β-(2.35일)사용후연료를 재처리하면 풀루토늄을 회수할 수 있다. 보통 경수로에서..

과학나라 2017.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