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432

카카오톡 이미지를 폰으로 가져가기.

1.Daum.에서 은빛조약돌의 꿈을 검색하여   검색된 붉은 색 체크부분을 터치합니다.    2.다음 창이 뜨면 체크한 분류 전체보기를         터치합니다.                           3.카테고리 맨 아래 카카오톡 이미지 모음을       터치합니다.4.가져가실 이미지를 손가락으로 꾹 누르시면    새로운 창이 뜹니다.  이미지 저장을   터치하시면 폰의 갤러리로 (다운로드)    저장 됩니다.

당뇨와 술

"당뇨와 술~"          당뇨환자에게 독인가! 약인가!                       ​복부비만을 야기해 인슐린저항성을 높이고 췌장 세포의 손상을 일으켜 인슐린분비 감소의 원인일반인에게 술은 활력소가 되기도 하지만 ,당뇨인에게 술은 영양소는 없으나 열량을 내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지속적인 잦은 음주는 복부비만을 야기해 인슐린저항성을 높이고 췌장 세포의 손상을 일으켜 인슐린분비 감소의 원인이 된다.알콜은 간의 포도당 생성을 억제하여 식사를 안 하고 마실 경우 당뇨 환자는 저혈당 유발 원인이 되기도 하고 에너지를 열의 형태로 공급하므로 다른 영양소의 부족을 초래하기 쉽다.그러므로 술은 빈속에 마시지 말고 양질의 단백질과 풍성한 채소류가 곁들여진 안주와 함께, 즐거운 분위기로 대화도..

건강하게 2025.03.01

동행의 기쁨

🌺 동행의 기쁨 🌺      모든 사람은 저마다의 가슴에      길 하나를 내고 있습니다.      그 길은 자기에게 주어진 길이 아니라      자기가 만드는 길입니다.      사시사철 꽃길을      걷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평생동안 투덜투덜      돌짝길을 걷는 사람이 있습니다.      나는 꽃길을 걷는 사람이 될 것입니다.      내게도 시련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으로      늘 준비하며 사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시련이 오면 고통과 맞서      정면으로 통과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시련이 오면 고통을 받아들이고      조용히 반성하며      기다리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시련이 오면 약한 모습      그대로 보이고도      부드럽게..

좋은 글 2025.02.28

채식주의자를 위한 do&don't 재료

채식주의자를 위한 do&don't 재료건강과 환경을 위한 날씬한 선택 동물성 식품은 모두 금하는 완벽한 채식주의자, 비건이 되기 위한 길은 호락호락하지 않다. 라면수프에도 쇠고기 분말이 들어 있고 빵의 경우 대부분 달걀이 들어가기 때문이다.자신의 입맛에 맞는 채식 전문 식당을 단골로 정하고 스스로 요리하는 즐거움을 알아가는 것도 중요하다. don't달걀 및 동물성 지방이 든 간식류 시판 과자에는 대부분 동물성 기름이 들어 있고 빵에도 달걀이 함유되어 있다. 채식 쇼핑몰이나 유기농 매장에 가면 통밀빵처럼 동물성 재료가 들어가지 않은 식품들을 판매한다. 가능하다면 채식 빵과 과자를 직접 만들어 먹자. 박력분과 베이킹파우더, 두유만 넣고도 얼마든지 팬케이크를 만들 수 있다. 달걀을 넣은 팬케이크보다 맛이 담백..

이런저런 2024.12.15

당신을 바꾸는 푸드테라피

당신을 바꾸는 푸드테라피5살 젊게_ 말린 표고버섯스트레스를 받으면 몸의 에너지 소모가 커진다. 에너지가 고갈되면 새치가 는다. 이러한 경우 에너지 강화 호르몬들을 촉진하는 판토텐산, 비타민B2 등이 필요하다. 식품으론 말린 표고버섯을 권한다. 생표고보다 비타민D가 풍부해 골다공증 예방에도 좋다. 이왕이면 생표고를 사다가 볕 좋은 베란다에 직접 말려 먹자. 5㎏ 가볍게_ 비지찌개겨울 분위기도 살리고 살도 빼는 음식으로 비지찌개를 추천한다. 두부 만들고 남은 ‘찌꺼기’라곤 하나, 단백질, 비타민B1·B2, 칼슘 등이 고루 들었다. 열량도 낮고 무엇보다 양질의 섬유소가 가득하다. 대두(大豆) 껍질에 풍부한 불용성식이섬유는 포만감을 주며 변비에 효과적이다. 묵은 김치를 송송 썰어 밥과 함께 보글보글 끓인 비지찌..

건강하게 2024.12.15

건강정보

감기를 달고 사는 아이들  감기를 달고 사는 아이란 어떤 아이를 말합니까?"우리 애는 감기를 달고 산다."는 말을 흔히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아이를 키우다 보면어쩔 수 없어 만나게 되는 게 감기입니다.그러나 정상적인 어린이가 1년에 앓는 감기의 횟수를 6∼8번 정도이고 1년 동안 감기를앓는 횟수가 아이들마다 모두 똑같을 수는 없으므로 감기를 달고 산다는 것은 엄마가보기에 우리 애가 주위의 다른 애들보다 훨씬 더 자주 감기에 걸린다고 생각하고 있는것이지요.정말 감기를 자주 앓는 아이들이란 감기에 걸린 기간과 걸리지 않는 기간과의 사이가분명치 않을 정도로 앓고 있어 그야말로 끊임없이 감기를 달고 사는 것처럼 보이게 되는데이른바 감기를 달고 사는 아이란 바로 이런 아이를 일컫는 것입니다.감기란 무엇인가?흔히 ..

건강하게 2024.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