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441

아욱, 더위 막고 단백질·칼슘 풍부한 ‘채소의 왕’

아욱, 더위 막고 단백질·칼슘 풍부한 ‘채소의 왕’ 아욱은 오랜 재배 역사를 지닌 채소로 북 온대와 아열대지방에 널리 분포하였으며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특히 사랑 받아온 채소이다. 서양에서도 즐겨 먹는 채소인 동시에 중요한 약초다. 고대 중국에서는 여러 종류의 채소 중에 으뜸으로 손꼽혔던 채소였다. 영구경(靈柩經)에서는 아욱, 콩잎, 부추, 염부추, 파 등 다섯 가지를 오채(五彩)라고 하였다. 또한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에서도 아욱은 오채(五彩)의 으뜸으로 재배하여 상시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인도와 서부아시아 등지에서도 전파되어 있으며 여름에 기온이 높은 지역이면 온대 북부까지 재배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아욱을 채소보다는 약으로 활용하였으며 아욱씨를 규자(葵子) 혹은 동규자(冬葵子)라 하여 이뇨약으로..

건강하게 2009.02.17

두릅, 당뇨병에 특효 ‘산에서 나는 버터’

두릅, 당뇨병에 특효 ‘산에서 나는 버터’ 껍질은 위장·심장병 한약재로 사용… 칼륨 풍부해 고혈압 환자에도 좋아 두릅에는 땅두릅과 나무두릅이 있다. 한방에서 ‘독할’로 불리는 땅두릅은 4~5월에 땅에서 돋아나는 새순을 파서 잘라낸 것이고, 나무두릅은 나무에 달리는 새순으로 표면에 가시가 있다. 두릅나무의 새순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두릅이다. ‘산채의 여왕’이라고도 하며 나른한 봄날 춘곤증에 효과적이다. 겨우내 뿌리에 저장되었던 양분이 춘분을 지나면서 가지 끝에서 움터 나와 ‘산의 버터’라 일컬어질 만큼 영양의 보고이며, 건강식품이다. 두릅나무는 평야에서부터 해발 1500m까지의 고산지대에 걸쳐 들이나 언덕, 강가 및 삼림에 이르기까지 어디에서고 뿌리를 내리며 군락을 이루어 자란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건강하게 2009.02.15

우엉, 식이섬유의 창고… 암·동맥경화 예방 효과

우엉, 식이섬유의 창고… 암·동맥경화 예방 효과 지중해 연안, 유럽, 시베리아, 만주 등지에 야생한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서 많이 식용하나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그리 오래 되지 않으며 경상도 지역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우엉의 어린 싹을 물에 씻어 소채로 한다’는 기록이 있어 예전에는 우엉의 잎도 식용했음을 말해 주고 있다. 그러나 요즘에는 대개 우엉의 뿌리를 즐겨먹고 잎은 떡을 만들 때 푸른 빛을 내는 데 이용하는 정도이다. 우방근, 우방자, 약실, 대력자, 우채, 구보라고도 한다. 지중해 연안에서 서부아시아에 이르는 지대가 원산지로 유럽, 아시아의 온대에서 널리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경로는 불명확하지만 도입된 지는 오래된 것 같지 않다. 전국적으..

건강하게 2009.02.15

노화 막아주는 ‘호수의 요정 빙어

빙어 노화 막아주는 ‘호수의 요정’ 빙어는 경골어류 바다빙어목, 바다빙어과로 ‘바다의 요정’ ‘호수의 요정’이란 별명처럼 모습이나 색깔이 귀엽고 맛도 일품이다. 그 이름 또한 다양하여 지역에 따라 백어(白魚), 공어(公魚), 메르치, 멸치, 방아, 뱅어, 보리붕어, 병어 등으로 불리고 있다. 또한 고서에서는 과어(瓜魚)라고 하였는데 이는 빙어의 몸에서 오이의 향이 난다고 해서 오이 과(瓜)자가 붙여진 것이다. 해마다 강원도 인제군에서는 1월 말을 전후하여 빙어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약용 빙어에 들어 있는 철분은 특히 젊은 여성들에게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로 빈혈로 인해 쉽게 피곤해지거나 건망증, 어지러움, 숨이 차고 귀가 울리는 현상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제철과 선택법 빙어는 3~4월경에 수온이 5~6℃..

건강하게 2009.02.11